한국의 선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 선교는 환인을 신으로 모시는 것에서 시작되어 홍익인간의 건국 이념으로 계승되었으며, 제천의식과 화랑의 수련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고대에는 천선, 국선 등의 명칭으로 불리며, 최치원은 "현묘한 도"가 선교라고 언급했다. 고려 시대에는 팔관회에서 선풍을 숭상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하는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선교는 한민족의 시원과 함께하는 고유 종교로, 환인상제를 숭배하며 천손신앙의 맥을 잇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종교 - 대한민국에서의 칼뱅 연구
대한민국에서의 칼뱅 연구는 1884년 서양 선교사들을 통해 칼뱅이 소개된 후 평양신학교를 중심으로 전파되었으며, 1960년대 이후 한국 교회의 관심 증가와 더불어 활발한 연구와 저작 번역이 이루어져 1980년대 이후 전문 연구자 등장과 원저 번역을 통해 깊이를 더하며 한국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원전 연구, 서구 신학 평가, 칼뱅의 해석학 연구 등을 과제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종교 - 대한민국 헌법 제20조
대한민국 헌법 제20조는 국민의 종교 자유 보장, 국교 불인정, 정교분리 원칙을 명시하여 개인의 신앙 자유를 보장하고 국가의 종교 개입을 방지한다. - 민족종교 - 천도교
19세기 말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에서 기원한 천도교는 인내천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 전통 사상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신종교로, 일제강점기 3·1 운동을 주도하며 민족 운동에 기여했으며 현재 남북한에 교단이 존재하고 북한에서는 천도교청우당을 통해 정치적으로 대표된다. - 민족종교 - 민족 종교
민족 종교는 특정 민족 집단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문화, 언어, 관습을 규정하는 종교로, 민족의 정체성 유지 수단으로 기능하며, 대종교, 신토, 도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유대교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의 선교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한민족 |
로마자 표기 | Hanminjok |
영어 명칭 | Korean people |
주요 거주 지역 |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주로 만주) 러시아 (주로 연해주) 미국 일본 캐나다 중앙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 기타 지역 |
인구 | 약 8천만 명 (2020년 기준) |
언어 | |
공용어 | 한국어 조선어 |
기타 사용 언어 | 영어 중국어 러시아어 일본어 |
민족 구성 | |
단일 민족 여부 | 논쟁 있음 |
하위 민족 | 고려인 재일 한국인 조선족 |
문화 | |
주요 문화 요소 | 김치 한복 한옥 온돌 설날 추석 한글 |
종교 | |
주요 종교 | 불교 기독교 유교 천도교 선교 |
민족 종교 | 무속 신앙 |
역사적 배경 | |
기원 | 고조선 |
주요 국가 |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조선 대한제국 |
현대 국가 |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한국 선교의 역사
한국의 선교(仙敎)는 도교(道敎)나 무속(巫俗)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였으나, 선교종단(仙敎宗團)의 선교경전[4] 및 선교정기간행물[5] 출판 보급을 통하여[6] 한국 선교의 역사를 알림으로써[7] 한민족 고유 종교로 인식되기 시작했다.[8]
선교(仙敎)는 환인을 신으로 모신 것에서 시작되어, 환웅의 신시 배달국, 단군조선의 건국이념인 홍익인간으로 계승되었다.[11] 그 후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예의 무천 등 제천의식과[12] 신라 화랑의 명산대천 기도와 팔관회, 고종 34년에 세운 원구단, 태백산 천제단, 마니산 참성단,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경일로 정한 개천절은 모두 선교(仙敎)의 선풍을 이은 것이다.
상고시대의 하늘 교화와 고조선의 건국이념 이후, 선풍으로 이어진 한국 고대선교(古代仙敎)의 역사(仙史)는 현대에 이르러 환인을 한민족의 하느님으로 섬기며 선도를 수행하는 선교종단(仙敎宗團)으로 계승되었다.[13] 2017년 현재 선교(仙敎)는 전국에 7교구 33교당과 12,942명의 신도가 있으며,[9] 재단법인선교(仙敎) · 선교종단보존회 · 선교총림선림원 · 선교문화예술보존회로 형성된 선교종단이 정부에 등록되어 있다.[10]
2. 1. 고대
환웅의 신시 배달국 제천(祭天), 단군조선의 건국이념인 홍익인간으로 계승되었다.[11]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예의 무천 등 제천의식이 행해졌다.[12]2. 2. 삼국 시대
신라 화랑의 명산대천 기도와 팔관회 등에서 선교(仙敎)의 선풍(仙風)을 엿볼 수 있다.[11] 《동국고대선교고》, 《삼국유사》, 《환단고기》 등의 문헌에 선교 관련 기록이 남아있다.[14]2. 3. 고려 시대
고종 34년에 원구단(圓丘壇)을 세워 선교(仙敎)의 제천(祭天) 의식을 계승하였다. 《고려의종칙서》에 선풍(仙風)을 숭상하라는 기록이 있다.[13]2. 4. 조선 시대
환인을 신으로 모신 것에서 시작되어, 환웅(桓雄)의 신시배달국의 제천(祭天), 단군조선(檀君朝鮮)의 건국이념인 홍익인간(弘益人間)으로 계승되었다.[11] 그 후 부여(夫餘)의 영고(迎鼓), 고구려(高句麗)의 동맹(東盟), 예(濊)의 무천(舞天) 등 제천의식과[12] 신라 화랑의 명산대천 기도와 팔관회, 고종 34년에 세운 원구단(圓丘壇), 태백산 천제단(天祭壇), 마니산 참성단(塹星壇)에서 제천 의식이 이어졌다.2. 5. 현대
1997년, 재단법인선교, 선교종단보존회, 선교총림선림원, 선교문화예술보존회로 구성된 선교종단이 정부에 등록되었다.[10] 선교종단은 선교경전[4] 및 선교정기간행물[5]을 출판·보급하여[6] 한국 선교의 역사를 알림으로써,[7] 선교(仙敎)가 도교나 무속과 유사한 것이 아닌 한민족 고유 종교로 인식되기 시작했다.[8] 2017년 현재, 선교(仙敎)는 전국에 7개 교구, 33개 교당과 12,942명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다.[9]3. 한국 선교의 주요 문헌
한국 선교와 관련된 주요 문헌들은 한국의 고대 종교와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동국고대선교고''': 신채호가 저술한 이 책은 단군 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한국 고유의 종교인 '선교(仙敎)'에 대해 다룬다. 선교가 중국 도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한국 고유의 사상이며 불교보다 먼저 존재했다는 점을 강조한다.[14] 최치원의 〈난랑비서〉를 인용하여 "우리나라에는 현묘(玄妙)한 도(道)가 있었으니, 선교(仙敎)(:풍류)가 그것이다"라고 언급하며, 선교가 민족 진화의 원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14]
- '''환단고기''': 환웅이 천신(天神)의 뜻을 받들어 백산(白山)과 흑수(黑水) 사이에 내려와 신시(神市)에 도읍을 정하고 배달이라는 나라를 세웠다고 기록한다. 삼칠일 동안 천신께 제사를 지내고, 밖의 물건을 꺼리며 근신하고, 문을 걸어 잠그고 스스로 주문을 외우며 몸을 닦아 공이 이루어지기를 바랐다고 한다.[16]
- '''고려의종칙서''': 고려 의종이 선풍(仙風)을 숭상하라는 칙서를 통해, 옛 신라에서는 선풍이 크게 유행하여 백성과 만물이 평안하였으며, 이러한 이유로 조종(祖宗) 이래로 선풍을 숭상해왔다고 밝혔다.[17]
- '''천지인합일선교''': 우리 민족의 고유 종교는 선교이며, 선교는 우리 한민족의 시원(始原)과 함께하는 근원종(根源宗)으로써, 고조선 이후 우리 한민족의 뿌리가 되어온 한민족 고유 종교이며, 이러한 선교의 역사를 빼놓고는 역사를 논할 수 없다고 한다.[18]
- '''선교소경전1. 선교-선교신앙''': 한민족은 환인상제를 아버지로 섬기는 천손민족(天孫民族)이며, 환인상제의 가르침과 사람이 하늘을 섬기던 고대 신앙의식은 한민족의 전통, 의례, 풍속, 민간신앙 속에 담겨있다고 설명한다.[19]
- '''고조선연구''': 고조선의 선인사상이 중국에 전달되어 도교의 중요한 요소를 이루게 되었다고 설명하며, 고조선의 종교는 仙을 추구하는 것으로, 이를 수행하는 사람을 선인(仙人), 그 가르침을 선교(仙敎)라 불렀다고 주장한다.[20]
3. 1. 동국고대선교고
우리나라 고대에는 '''선교'''(仙敎)가 널리 퍼져 있었다. 관련 서적들이 사라져 그 기원을 찾기 어렵게 되자, 혹자는 중국의 도교가 한국에 들어온 것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러 자료를 통해 볼 때, 선교는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한국 고유의 것이라는 증거가 많다.[14]- 삼국 이전 및 삼국 초기에 천선(天仙), 국선(國仙), 대선(大仙) 등의 명칭이 여러 번 등장한다. 반면, 도교 경전은 고구려 영류왕 때 처음 전래되었다.[14]
- 도교는 불교가 들어온 이후에 전래되었지만, '''선교'''는 불교 수입 이전부터 존재했다.[14]
- 도교는 노자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만운의 기년아람에서는 단군을 천선(天仙)이라 칭했다. 단군은 노자보다 천 수백 년 이전 사람이므로, 이후 사람이 창시한 종교를 수입할 수 없다.[14]
- 만약 삼국시대 왕들이 중국에서 '''선교'''를 수입했다면, 동명성왕이나 대무신왕도 중국 한나라의 무제처럼 불사약을 구했을 것이다. 명림답부나 김유신도 장량처럼 벽곡, 도인술을 배웠을 것이나 그런 기록은 없다.[14]
- 도교에는 천사(天師), 진인(眞人) 같은 봉작이 있지만, 이는 당나라, 송나라 이후에 생긴 것이고, 재초 등을 주관할 뿐 정치적 실권은 없었다. 그러나 고구려, 백제의 조의(皂衣), 대선(大仙) 등은 왕과 유사한 권력을 가졌으며, 이는 서양 고대 예수교의 대사제와 비슷하다.[14]
- 중국 도교는 세상을 피하고(避世) 오래 사는 것을 추구한다. 그러나 한국의 '''선교'''는 그렇지 않았다. 명림답부는 대선(大仙)이었지만 폭군을 폐하고 외적을 물리쳤고, 온달은 대형(大兄)(:즉 仙人)이었으나 외적을 물리치고 강토를 개척하다 전사했다. 김유신은 국선(國仙)이었으나 나라를 위해 기도하고 고구려, 백제를 멸했다. 김흠순, 김인문은 선도(仙徒)였으나 전쟁터에서 싸운 명장들이었고, 관창, 김영윤, 김흠운도 선도(仙徒)였으나 나라를 위해 죽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다.[14]
최치원은 〈난랑비서〉(鸞郞碑序)에서 “우리나라에는 현묘(玄妙)한 도(道)가 있었으니, 선교(仙敎)(:풍류)가 그것이다”라고 했고, “이 교를 창설한 내력은 선사(仙史)에 자세히 밝혀져 있다”라고 했다. 만약 선사가 지금까지 전해졌다면 민족 진화의 원리를 연구하는 데 큰 자료가 되었을 것이고, 동양 고대 국가 중 유일하게 종교사를 가진 나라로서 사학(史學)상 큰 의미를 가졌을 것이다.[14]
환인, 환웅, 단군은 삼신(三神)(:삼성이라고도 한다)이고, 삼신(三神)은 즉 선교(仙敎) 창립의 시조이다. 그 의미는 예수교의 삼위일체나 불교의 삼불여례(三佛如來)와 유사하다. 묘향산에는 단군굴(檀君窟)이 있고, 금수산(錦繡山)에는 동명성왕의 기린굴(麒麟窟)이 있으며, 석다산(石多山)에는 을지문덕굴(乙支文德窟)이 있으며, 중악산(中岳山)에는 김유신굴(金庾信窟)이 있다. 이는 석가의 영산(靈山)과 마호메트의 동굴(洞窟)처럼 선교도(仙敎徒)가 심술(心術)을 수련할 때 반드시 굴속에 들어가서 하였기 때문일 것이다.[14]
'''선교'''는 삼국시대에 불교와 격렬한 경쟁을 하였다. 불교가 처음 수입되자 신라의 군신(君臣)들이 모두 그것을 이도(異道)라고 배척하였으며, 신라 말 고려 초에 불교가 크게 융성하면서 '''선교'''는 멸절(滅絶)하였다.[14]
3. 2. 삼국유사
고기(古記)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옛날 환인(제석(帝釋)을 말한다)의 서자 환웅(桓雄)이 천하에 자주 뜻을 두고 인간세상을 탐내어 구했다. 아버지는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 태백산(三危太伯山)을 내려다보니 인간세계를 널리 이롭게 할 만했다. 이에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어, 내려가서 세상 사람을 다스리게 했다.[15]3. 3. 환단고기
후에 환웅이 일어나 천신(天神)의 뜻을 받들어 백산(白山)과 흑수(黑水) 사이에 내려왔다. 사람 모이는 곳에 천평을 마련하고 청구에 정지를 정했다. 천부인을 지니고 다섯 가지 일을 주관하며 세상에 있으면서 교화를 베푸니 인간을 크게 유익하게 하였다. 신시(神市)에 도읍을 세우고 나라를 배달이라 칭했다. 삼칠일을 택하여 천신께 제사지내고 밖의 물건을 꺼리며 근신하고, 문을 걸어 잠그고 스스로 주문을 외우며 몸을 닦아 공이 이루어지기를 바랐다고 한다.[16]3. 4. 고려의종칙서
고려 의종은 선풍(仙風)을 숭상하라는 칙서를 내렸다. 의종은 칙서를 통해, 옛 신라에서는 선풍이 크게 유행하여 용천(龍天)이 기뻐하고 백성과 만물이 평안하였으며, 이러한 이유로 조종(祖宗) 이래로 선풍을 숭상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근래에 양경(兩京)의 팔관회가 예전의 격식을 잃고 유풍이 점차 쇠퇴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의종은 앞으로 팔관회에서 양반 중 재산이 풍족한 자를 선가(仙家)로 삼고 고풍(古風)에 따라 행하여, 사람과 하늘이 모두 기쁨을 누리도록 하라고 명하였다.[17]3. 5. 천지인합일선교
우리 민족의 고유 종교는 선교이다. 선교는 우리 한민족의 시원(始原)과 함께하는 근원종(根源宗)으로써, 고조선 이후 우리 한민족의 뿌리가 되어온 한민족 고유 종교이며, 이러한 선교의 역사를 빼놓고는 역사를 논할 수 없는 것이다.[18]3. 6. 선교소경전1. 선교-선교신앙
한민족은 환인상제를 아버지로 섬기는 천손민족(天孫民族)이다. 환인상제의 가르침과 사람이 하늘을 섬기던 고대 신앙의식은 한민족의 전통, 의례, 풍속, 민간신앙 속에 담겨있다.[19]우리 한민족은 본래 하느님 사상을 근본으로 하며, 일만 년에 달하는 한민족의 역사 속에 환인하느님을 섬기는 믿음이 뜨거운 핏줄을 타고 살아있다. 선교(仙敎)는 환인상제(桓因上帝)를 경외하는 아버지로 신앙하는 천손 신앙의 맥을 계승하였다.[19]
3. 7. 고조선연구
선인사상은 고조선의 사상이었는데, 泰帝國이나 그보다 조금 앞선 시대에 중국에 전달되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20] 고조선의 仙人思想은 중국 삼국시대 이후 도교가 종교로 성립되면서 중국의 전래사상과 혼합되어 신선사상으로 그 명칭과 내용이 변모되어 道敎의 중요한 요소를 이루게 되었던 것이다.[20] 한국이나 중국의 옛 문헌에 고조선의 종교는 仙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그래서 이를 수행하는 사람을 선인(仙人)이라 불렀으며, 仙을 추구하는 길을 선도(仙道), 그 가르침을 선교(仙敎)라 하였을 것이니, 종교의 명칭으로는 <仙敎>라 함이 마땅할 것이다.[20]3. 8. 민족종교통합연구
선교(仙敎)는 천일(天一)·지일(地一)·인일(人一)의 삼신일체(三神一體), 즉 도불유일체(道佛儒一體)의 종교이다. 삼신일체가 만사만물에 공동작용하면 도불유일체의 선교가 되고, 나누면 각각 도교, 유교, 불교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삼신일체를 집일합삼(執一合三) 회삼귀일(會三歸一) 한다고 풀이한다.[21]참조
[1]
뉴스
한민족종교회담 개최(세종문화회관)
http://pdf.hani.co.k[...]
[2]
저널
재단법인선교 산하법인
http://www.iros.go.k[...]
[3]
웹인용
재단법인선교(법인등록번호200122-0020561)
null
[4]
웹인용
천지인합일선교
http://www.nl.go.kr/[...]
2017-02-12
[5]
웹인용
선교(仙敎)
http://www.nl.go.kr/[...]
2017-02-12
[6]
서적
선교
http://museum.magazi[...]
2019-04-12
[7]
저널
한민족고유종교 선교(仙敎)의 부활
http://pdf.hani.co.k[...]
[8]
뉴스
재단법인선교 창교20주년
http://jndn.com/arti[...]
2016-04-11
[9]
서적
仙敎
선교종단 재단법인선교 신도현황 2017년
[10]
뉴스
"민족종교대통합을 위한 한민족종교회담"
http://www.newswire.[...]
2016-11-03
[11]
서적
고조선연구
일지사
[12]
서적
후한서
[13]
서적
천지인합일선교
선가서림
[14]
서적
조선상고문화사
비봉출판사
[15]
서적
삼국유사
솔
[16]
서적
한단고기
정신세계사
[17]
서적
고려사
[18]
서적
천지인합일선교
선가서림
[19]
서적
선교_선교신앙
선가서림
[20]
서적
고조선연구
일지사
[21]
저널
민족종교통합연구
http://www.jknews.kr[...]
2016.11.2 세종문화회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